전문자료

A~Z

기타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 Orientia tsutsugamushi) [제3급 법정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자료

 

◾ 자료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쯔쯔가무시증 [바로가기]

 

◾ 지침 

질병관리본부 2018년도 진드기 매개감염병 관리지침 [내려받기]

 

◾ 홍보자료 

질병광리본부 쯔쯔가무시증 홍보자료 [바로가기] 

 

 

■ 개요

 

Orientia tsutsugamushi에 의해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렸을 때,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적 혈관염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 매개진드기에 물린 자리에 가피(eschar)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

 

◾ 초원열 (scrub typhus), 잡목열 또는 양충병 이라고도 불림

 

◾ 병원체

리케치아의 일종인 O. tsutsugamushi

- 절대 세포내 기생 세균으로서 Giemsa염색을 하면 그람 음성 간구균(coccobacillus) 모양으로 보통 직경은 0.5-0.7 μm, 길이는

   1.2-2.5 μm

- 원형질은 세포외막과 세포내막으로 싸여 있으며 지당체, 펩티도글리칸, 점액층이 없고 매우 두꺼운 세포벽의 외층을 가지고 있음

- 항원성이 서로 다른 혈청형이 존재하며, 쥐를 이용한 병독성 시험에서 혈청형에 따라 병원성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숙주 진드기의 종류도 다를 것으로 추정

- Gilliam, Karp, Kato가 주요 균주이며, 지역별로 특이적인 유행주가 존재하는데 국내는 Boryong주가 주요 유행주임

 

◾매개충 : trombiculid mite의 유충인 털진드기(chigger)
◾전파경로 :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이 사람을 물어 전파됨
◾고위험군 : 농업종사자(논밭 작업), 야외작업자

 

 

 

■역학적 특징


◾세계현황
-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호주 북부에서 흔함
- 풍토병지역에 감수성자가 유입 시 집단발생이 가능함. 특히 군대인 경우 유입 후 수주에서 수개월 내에 20~50%가 감염됨  

 

◾국내현황
  - 2001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 상황을 보면 주로 10~12월 사이에 연간 환자의 94%이상이 신고되었으며 전북, 경남, 전북, 충남지역에서 많이 발생함
  - 주로 50~70대에 호발하는 양상을 보이며, 남성에 비해 여성의 발생빈도가 약 1.6배 높음
  - 감시현황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신고수()

6,780

6,480

6,022

6,057

4,995

5,671

5,151

8,604

10,365

8,130

발생률

(10만명당)

13.93

13.26

12.26

12.26

10.06

11.31

10.17

16.92

20.31

15.87

 

 

 

■ 증상

 

◾잠복기 : 6일~18일
◾임상증상
- 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가피(eschar) 형성이 특징적임,  주요 가피 발견 신체 부위는 피부가 겹치고, 습한 곳으로 가슴, 겨드랑이, 복부, 종아리 등에서 많이 확인됨
- 심한 두통, 발열, 오한이 갑자기 발생하며 감기와 유사, 구토, 복통 발생
- 발진 : 발병 5일 이후 발진이 몸통에 나타나서 팔다리로 퍼지며 반점상 구진의 형태를 보임
- 국소성 또는 전신성림프절 종대와 간 비대, 비장 비대를 보임
- 가벼운 혼돈에서 섬망, 혼수상태까지 다양한 중증도의 의식수준의 변화가 동반될 수 있음
◾합병증 : 일시적인 뇌신경 마비가 올 수 있음
◾사망률: 적절한 치료를 안 한 경우에는 0~30% (심부전, 순환장애, 폐렴 등)

 

 

b64f3c4ee20841574f183e415d0805d5_1489650464_5161.jpg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형성된 가피>

  

 

■ 진단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에서 O. tsutsugamushi  유전자 검출
 ‧ 미세간접면역형광항체법(IFA)으로 단일 항체가가 IgG 1:256 이상  또는 IgM 1:16 이상
 ‧ 수동혈구응집법(PHA)으로 단일항체가가 1:320 이상
 ‧ 검체(혈액 등)에서 균 분리 동정 또는 항원검출
  - 추정 진단
 ‧ 수동혈구응집법(1:320 미만), 미세간접면역형광항체법(IgG 1:256 미만),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CA) 등으로 특이항체가 확인된 경우

* 배양검사는 일반검사실에서는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국립보건연구원에 의뢰.

 

◾그 외 검사 소견
- 백혈구 감소증, 간기능 검사 이상, 혈뇨, 단백뇨 등이 흔히 나타나나 비 특이적임

 

검사의뢰방법 

 

※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할 때는 의뢰서와 함께 검체를 보냄
   (담당부서-인수공통감염과:043-719-8462, 8475, 팩스전송 043-719-8489)
 • 검체
   - 배양 검사 : 혈액(항응고제 처리) 5 ml
   - 항체가 검사 : 혈청(급성기 및 7~10일 후 회복기 혈청) 5 ml
   - 유전자 검사 : 혈액(항응고제 처리) 5 ml
 • 운송
   - 혈액, 혈청 : 24시간이내 4℃로 운송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쯔쯔가무시증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확인 진단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의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쯔쯔가무시증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추정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쯔쯔가무시증이 의심되며, 진단을 위한 추정 진단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이 추정되는 사람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에서 O. tsutsugamushi 유전자 검출
    · 미세간접면역형광항체법(IFA)으로 단일 항체가가 IgG 1:256 이상  또는 IgM 1:16 이상
    · 수동혈구응집법(PHA)으로 단일항체가가 1:320 이상
    · 검체(혈액 등)에서 균 분리 동정 또는 항원검출

 

 - 추정 진단
    · 수동혈구응집법(1:320 미만), 미세간접면역형광항체법(IgG 1:256 미만),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CA) 등으로 특이항체가 확인된 경우

 

 

 

■환자 및 접촉자 관리


◾환자관리 : 격리 필요 없음
◾접촉자관리 : 필요 없음

 

 

 

■ 치료

 

◾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생제(독시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아지스로마이신 등) 투여

 

 

 

■ 예방

 

◾ 예방 접종

- 백신 : 해당없음

 

◾ 예방 수칙 : 털진드기 노출 회피 및 증상발생 시 즉시 치료 강조

    • 평상시/농작업 전

     - 전용 농작업복(긴팔·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 구비 및 작업 시 항상 착용

     - 풀숲 제거 : 농경지 및 주변, 거주지 및 주변 등

     - 진드기 기피제 보조 사용 : 농작업복에 도포

    • 농작업 중 : 풀숲과 접촉 기회 회피

     - 풀숲에 옷 벗어 놓지 않기, 휴식 시 돗자리 사용

     - 보조도구 이용 : 농작업용 앞치마 또는 방석

     - 풀숲에서의 용변 금지

    • 농작업 후

     - 농작업복 일체 세탁하기 : 귀가 즉시 평상복과 분리 세탁

     - 목욕 : 귀가 즉시, 입욕을 추천하나 샤워도 가능

     - 적기치료 : 농작업 등 야외작업 수행 후 감기증상이나 가피(검은딱지) 발견 즉시 반드시 의료기관 방문 치료

 

 

 

■ 관련 정책 및 지원사업

 

◾ 쯔쯔가무시증 예방홍보사업

◾ 쯔쯔가무시증 집중예방관리사업

 

 

 

■ 출처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쯔쯔가무시증

http://www.cdc.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C0010&icdgrpCd=03&icdSubgrpCd=

질병관리본부 2016 법정감염병 진단 신고 기준

http://www.cdc.go.kr/CDC/cms/cmsFileSeDownload.jsp?fid=10713&cid=138040&fieldName=attach1&index=1&fk=8dbae812a26dfec45410ccbc5f57f73c07f5969ebe6938ff6a58495752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