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자료

A~Z

기타

A형간염(Hepatitis A, HAV) [제2급 법정감염병]

■ A형 간염 자료


◾ 자료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A형간염 [바로가기]​

CDC Hepatitis A Information [바로가기]

 

◾ 지침

질병관리본부 2011년 A형간염 역학조사서 [바로가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도 수인성및식품매개감염병관리지침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도 수인성및식품매개감염병관리지침-부록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5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역학조사 지침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5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역학조사 지침(체크리스트)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5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역학조사서 양식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년 개정판)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의료기관용)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 풍수해태풍호우 감염병 대응 메뉴얼[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 신구조문대비표 주요 사항 혈액관리업무 점검사항 처리지침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 혈액관리업무 점검사항 처리지침(최종 개정안_7.24) [내려받기]

 

◾ 연구 자료 및 논문 

질병관리본부 A형 간염 예방접종 - Korean J Med [바로가기] 

질병관리본부 한국인에서 A형간염바이러스에 대한 혈청 항체 양성률의 변화 [바로가기] 

질병관리본부 전투 경찰에서 A형 간염 발생률과 항체 양성륳 [내려받기]

 

◾ 홍보자료

질병관리본부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 홍보자료[바로가기] 

질병관리본부 A형간염 리플렛[바로가기] 

 

 

개요

 

정의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에 의한 급성 감염 질환으로 발열, 구역 및 구토, 암갈색 소변, 식욕부진, 복부 불쾌감, 황달 등 다른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간염과 유사

 

병원체

- A형간염 바이러스는 27 nm의 껍질이 없는 RNA 바이러스로 Picornavirida e과의 Hepatovirus속으로 분류되며, 유전자는 7,500 염기쌍으로 구성되고 크게 3가지(P1, P2, P3) 단백 유전자로 나뉨

- 7개의 유전형(Ⅰ[A, B], Ⅱ, Ⅲ[A, B], Ⅳ, Ⅴ, Ⅵ, Ⅶ)이 존재하며, 그 중 4개의 유전형(Ⅰ, Ⅱ, Ⅲ, Ⅶ)이 사람에 감염을 일으킴

 42758839de0ca07d157c09c8653633aa_1490075761_1955.jpg

<A형간염 (Hepatitis A, HAV) 원인 병원체, 투과전자현미경 x164,000>

 

전파경로

-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에 의해 전파됨

- 환자의 대변을 통한 경구 감염, 주사기를 통한 감염(습관성 약물 중독자),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으로 전파됨

- 환자를 통해 가족 또는 친척에게 전파되거나 인구밀도가 높은 군인, 고아원, 탁아소에서 집단 발생함

 

전염기간

증상 발현 2주 전부터 황달이 생긴 후 1주일까지이며, 증상 발현 1~2주 전이 가장 감염력이 높은 시기

※ 증상이 나타나면 배출되는 바이러스 숫자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7~10일이면 의미 있게 감소하고 3주가 경과되면 대부분 바이러스를 더 이상 대변으로 배출하지 않음(성인에 비해 소아에게는 바이러스 배출기간이 더욱 길어 임상증상 발현 후 10주간 지속되기도 하고, 신생아기 감염 시 바이러스 배출이 6개월간 지속될 수 도 있음)

 

 

 

발생현황

 

세계현황

- A형간염은 위생적인 공중위생시설 및 손씻기와 같은 개인 위생습관의 부족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A형간염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환경 및 위생상태의 개선과 예방접종임

- 세계보건기구는 연간 약 14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함

 42758839de0ca07d157c09c8653633aa_1490074708_5289.png

<세계 A형간염 발병국> 

 

 

국내현황

- 선진국형으로 변화되어 1995년 이후 10~30세 사이에 A형 간염 환자가 증가함

- A형간염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시행(2010.12.30)에 따라 기존 지정전염병에서 제1군감염병으로 군 분류가 변경되었고, 감시방법도 표본감시에서 전수감시로 변경되었음

- A형간염 신고수는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009년(표본감시, 15,231명)을 정점으로 감소추세에 있음

- 20-30대가 전체 환자의 70~80%를 차지함

   

42758839de0ca07d157c09c8653633aa_1490074869_5734.png

 

증상

 

잠복기

- 15~50일(평균 28일)

 

임상증상

- 발열, 식욕감퇴, 구역 및 구토, 암갈색 소변, 권태감, 식욕부진, 복부 불쾌감, 황달 등

- 6세 미만 소아에서 약 70%가 무증상을 보이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황달이 동반되며 증상이 심해짐

- 길랭-바레 증후군, 급성신부전, 담낭염, 췌장염, 혈관염, 관절염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수에서 재발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담즙 정체성 간염 등의 비전형적인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42758839de0ca07d157c09c8653633aa_1490075941_4767.jpg  <A형 간염 증상, 황달>

 

 


신고

 

신고범위 : 환자, 병원체보유자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A형간염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병원체보유자 : 임상증상은 없으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가 확인된 사람

 

임상증상

- 발열, 식욕감퇴, 구역, 구토, 쇠약감, 복통, 설사 등 다른 바이러스 간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임

- 소아는 거의가 증상이 없는 불현성 감염(6세 이하에서 약 50%가 무증상)을 보이나, 감염자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황달 등 바이러스 간염의 임상 증상 발현율이 높아지고 심해지는 경향이 있음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A형간염 바이러스 특이 IgM 항체 양성

- 검체(대변검체, 혈액 등)에서 RT-PCR 검사법으로 A형간염 바이러스 특이유전자 검출

  * 혈청 간 효소, 빌리루빈치의 증가

 

신고방법 : 법정감염병 진단․신고 기준에 내용을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cdc.go.kr)으로 신고

 


   

관리

 

환자관리

- A형간염에 감염된 소아나 성인은 임상증상이 생긴 후 1주일 까지는 전파가 가능하므로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표준 주의 및 접촉주의 지침을 준수해야 함

- 개인위생 관리가 가능한 일반 성인 : 의학적 판단에 따라 입원치료 또는 자가 격리

- 격리기간 : 개인위생을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사람(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 장애인, 고령자, 중증질환자), 보육교직원, 요양시설 종사자, 조리종사자, 의료종사자 : 황달 발생 후 (황달 없는 경우 입원일로부터) 1주간 격리(접촉주의 적용)

 

접촉자 관리 : 감수성자에게 노출 후 예방 조치(면역글로불린 투여 또는 예방접종) 시 현증 감염 예방 가능

-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2주 이내이면, 생후 12개월부터 40세까지의 건강한 사람에게는 A형간염 백신접종을 하고, 40세 이상의 건강인은 면역글로불린이 추천되며, 이를 구하기 어려울 경우 백신 접종

-12개월 미만 영아, 면역 저하자, 만성간질환자, 백신에 금기사항이 있는 사람은,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2주 이내이면 면역글로불린(0.02 ml/kg, 최대 5ml) 근육주사 

 노출된 지 2주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면역글로불린과 A형간염 백신 모두 현증 감염 예방 효과가 불확실하여 노출 후 예방조치로는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고, 지속적 노출이 예상되는 경우 12개월 이상 연령에서 금기사항이 아닌 경우 백신 접종

 

<감염병환자 및 접촉자 격리기간>

 

 A형간염에 감염된 소아나 성인은 임상증상이 생긴 후 1주일 까지는 전파가 가능하므로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표준 주의 및 접촉주의 지침을 준수해야 함 

- (개인위생 관리가 가능한 일반 성인) 환자일 경우에 의학적 판단에 따라 입원치료(1인실 사용이 권고되나, 필수사항은 아님)

- 개인위생을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사람(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 장애인, 고령자, 중증질환자), 보육교직원, 요양시설 종사자, 조리종사자, 의료종사자 : 황달 발생 후 (황달 없는 경우 입원일로부터) 1주간 격리

- 접촉자 관리 : A형간염 접촉자 관리 참조

 

 

 

 

치료

 

A형간염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대증요법으로 치료

- 전격 간염 또는 구토로 인해 탈수된 환자는 입원치료 필요

- 안정 가료

- 고단백 식이요법

- 전격성 간부전으로 진행시 간이식

 

 

  

예방

 

일반적 예방

- 표준주의와 함께 환자나 오염된 매개 물질의 접촉을 피하는 접촉 주의 시행

- 공중 보건위생 : 손 씻기, 상하수도 정비, 식수원 오염방지, 식품 및 식품 취급자 위생관리

* 1분간 85℃ 이상 열을 가해야만 바이러스가 불활화되기 때문에 끓인 물이나 제조된 식수만을 마시며, 조개류는 90℃에서 4분간 열을 가하거나 90초 이상 쪄서 섭취. 과일 또한 껍질을 벗겨 섭취 권장

- A형간염 환자 입원 시 표준주의와 함께 접촉주의를 시행. 가능한 독실 사용을 추천하나 필수사항은 아님. A형간염에 이환된 환자는 임상증상이 생기고 나서 1주일까지는 다른 사람과 접촉을 피해야 함

 

예방 접종

- 예방접종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질병관리본부)>참고

   * A형간염 고위험군
     ․ 유행지역으로의 여행자 및 장기 체류자
     ․  주기적으로 A형 간염이 집단 발생하는 A형 간염 유행지역의 소아
     ․  남성 동성연애자
     ․  불법 약물 남용자
     ․  직업적으로 A형 간염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자
     ․  만성 간질환 환자
     ․  혈우병 환자
     ․  20~30대 성인 중 예방접종력이 없거나 A형간염을 앓은 적이 없는 경우
     ․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하는 사람
     ․  군인, 의료인, 외식업 종사자

  - 접종시기
    ․  소아 : 생후 12~23개월에 1차 접종 후 6~12개월(일부 백신은 6~18개월)후에 2차 접종
    ․  성인 : 6~12개월(일부 백신은 6~18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 접종용량 및 방법: 제조사별로 접종용량이 다르며, 삼각근 부위에 근육주사

 

 ◾연령별 면역도의 변화

- 1980년대 초 10대의 약 90%가 A형간염 자연감염에 의한 항체 획득했었다

- 1980년대 말-1997년 10대 항체형성률 10% 20대는 60%로 항체형성률 감소

- 1997이후 A형간염 백신을 사용으로 10세 항체형성률 50~60%로 증가

 

 

 

관련 정책 및 지원사업

 

손씻기 등 보건교육사업

 

 

 

출처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A형간염

http://www.cdc.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A0006&icdgrpCd=01&icdSubgrpCd=

아이맘아동병원 A형간염

http://imomhospital.co.kr/page/information/vaccine_view&id=vaccine&no=220&page=2

wikipedia Hepatitis A

https://en.wikipedia.org/wiki/Hepatitis_A 

질병관리본부 2017 법정감염병 진단 신고기준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6-MNU2804-MNU3027-MNU2979&cid=138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