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자료

A~Z

기타

세균성이질(Shigellosis) [제2급 법정감염병]

■ 세균성이질 자료

 

◾ 자료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세균성이질 [바로가기] 

질병관리본부 2017 법정감염병 진단 신고기준 [내려받기]

CDC Shigellosis [바로가기]

 

◾ 지침 

질병관리본부 2017년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관리지침[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도 수인성및식품매개감염병관리지침-부록[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환자,보균자 보고양식(표48,54)[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실험실 진단 실무 지침 2017[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5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역학조사 지침[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5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역학조사 지침(체크리스트)[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5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역학조사서 양식[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 풍수해태풍호우 감염병 대응 메뉴얼[내려받기]

 

 

◾ 홍보자료

질병관리본부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 홍보자료[바로가기]

 

 

 

 개요

 

◾정의

​'세균성이질'이란 용어의 뜻은 '세균에 의한 설사' 라는 뜻으로 각종 세균이 이에 포함될수 있어 혼동될수 있지만 세균성이질은 이질균(Shigella spp.) 감염에 의해 급성 염증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병원체

- 그람음성 간균으로 운동성이 없고 협막이 형성되지 않음.

- Shigella 균속은 O항원과 당을 이용한 발효특성에 따라 S. dysenteriae, S. flexneri, S. boydii, S. sonnei의 4종으로 나뉘고 대장균과 유전형과 표현형이 유사하나 생화학적으로 대장균과 명확히 구분됨

- 혈청학적으로 4개의 군으로 나뉘며 알파벳 순서대로 독성이 약하다. A군(Shigella. dysenteriae)는 12종이며 후진국에서 많이 발생, B군 (S. flexneri)은 6종, C군(S. boydii)은 18종, D군(S. sonnei)은 1종이며 선진국에서 많이 발생

 

 병원소

- 사람만 감염됨

 

전파경로

- 불완전 급수와 식품매개에 의한 분변-경구로 전파됨

- 매우 적은 양(10~100개)의 세균으로도 감염될 수 있어 환자나 병원체 보유자와 직⋅간접적인 접촉에 의한 감염도 가능

- 가족내 2차 발병률은 10~40% 정도로 높음

 

전염기간 : 보통 발병 후 4주 이내, 드물지만 보균상태가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도 있음

 

 

 

 발생현황

 

 세계현황

-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60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함(40% 이상이 10세 미만임)

- 미국에서는 연간 10,000명~20,000명의 환자가 보고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약 500명 정도의 환자가 보고됨

- 후진국에서는 S. flexneri가 가장 흔하며(약 50%), 선진국에서는 S. sonnei가 가장 흔함

- 항생제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균주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됨

 

국내현황

- 1950년대 항생제의 도입과 환경위생의 개선으로 감소경향을 보이다 1998년부터 크게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하는 양상임

(1998년 : 906명, 2000년 : 2,462명, 2003년 : 1,117명, 2005년 : 317명)

- 1991년 이후부터 S. sonnei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S. flexneri도 발생되고 있음

- 총 신고건수는 감소추세이나, 국외유입 사례의 비율(2001년 1%, 2005년 14%, 2008년 30%, 2012년 47%)은 증가하고 있음

- 최근 단체급색을 매개로 한 집단발생 증가

- 겨울철에 주로 발생

- 현황726ecf94dc668f433ef7239ede66ecd7_1488852426_6511.JPG  * 2015년 자료는 변동 가능한 미확정 잠정통계임

 

 

 

증상

 

잠복기

- 12시간~3일(최대 7일)

 

임상증상

- 보통 경미하거나 증상 없이 지나감

- 무증상에서 감염 보균자로 전파 가능

- 고열과 구역질, 때로는 구토, 경련성 복통, 후중기를 동반한 설사가 주요 증상이며 전형적인 경우는 대변에 혈액이나 고름이 섞여 나옴

- 경련, 두통, 기면, 경부 강직, 환각 등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S. dysenteriae가 가장 심한 증상을 보이고, S. flexneri, S. sonnei로 갈수록 임상증상이 약해짐

 

◾합병증 

​- 용혈성요독증후군, 경련, 반응성 관절염, 폐렴, 수막염, 패혈증, 파종성 혈관내응고 등

 

- 용혈성요독증후군 발생시 : Shigella dysenteriae 감염이 용혈성요독증후군과 관련

- 말초혈액에서 미세혈관성 용혈성 빈혈 : 혈색소 감소, 혈소판 감소, 혈청합토글로빈(Haptoglobin) 감소, 망상 적혈구 증가, 조각적혈구(Fragmented RBC), Coombs검사는 음성

- 소변 검사에서 적혈구, 단백, 과립성 원주

- 저나트륨혈증, 저혈당 등

 

 

신고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세균성이질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세균성이질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병원체보유자 : 임상증상은 없으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가 확인된 사람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등)에서 Shigella dysenteriae(혈청군 A), Shigella flexneri(혈청군 B), Shigella boydii(혈청군 C), Shigella sonnei(혈청군 D) 분리 동정

  * 이질균으로 의심될 경우는 보건소 → 보건환경연구원으로 균주를 보냄

◦용혈성요독증후군 발생시 : Shigella dysenteriae 감염이 용혈성요독증후군과 관련
   - 말초혈액에서 미세혈관성 용혈성 빈혈: 혈색소 감소, 혈소판 감소, 혈청합토글로빈(Haptoglobin) 감소, 망상 적혈구 증가, 조각적혈구(Fragmented RBC), Coombs검사는 음성
   - 소변 검사에서 적혈구, 단백, 과립성 원주
   - 저나트륨혈증, 저혈당 등

 

신고방법 : 법정감염병 진단․신고 기준에 내용을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cdc.go.kr)으로 신고

 

 

 

관리

 

환자관리

- 격리기간(입원 또는 자가 격리)항생제 치료 종료 48시간 후부터 24시간 간격으로 2회 대변배양검사가 음성일 때까지

- 환자, 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물품 소독

 

접촉자 관리

- 발병여부 관찰 : 환자와 음식, 식수를 같이 섭취하는 접촉자는 마지막 폭로가능 시점부터 7일간 발병여부를 감시

- 환자와 접촉한 사람이 설사 증상을 보일 경우 입원치료. 설사가 소실되고 48시간 이상 경과한 후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시행한 대변이나 직장도말 배양검사에서 연속 2회 음성 확인

- 고위험군(식품업종사자, 수용시설 종사자 등)은 대변배양 검사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음식취급, 탁아, 환자간호 등 금지

- 설사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지도

 

<감염병환자 및 접촉자 격리기간> 

적은 수의 균주로도 감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급성기 동안에 접촉주의지침을 준수하여 입원 또는 자가 격리를 시행

전파위험이 높은 군 : 항생제치료 완료 48시간이 지난 후 24시간 간격으로 검사하여 2회 대변배양검사결과가 음성일 때까지 입원 또는 자가격리

접촉자 관리: 환자와 접촉한 사람이 설사증상을 보일 경우에 입원치료하고 설사가 소실되고 48시간 이상 경과한 이후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시행한 대변이나 직장도말검사에서 연속 2회 음성이 확인

무증상 보균자의 경우 : 위험군에 대해서만 병원체 보유를 확인하고 나서 48시간이 경과한 후에(만일 항생제를 투여한 경우에는 항생제를 중단하고 48시간이 경과한 후에 검사)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 대변배양검사에서 2회 연속 음성임을 확인

  



치료

 

보존적 치료

- 전해질과 수분 공급

 

항생제

- 증상이 심한 경우나 접촉자 관리 또는 집단발병 시 관리를 목적으로 투여할 경우 이환기간과 세균 배설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

항생제 내성 균주가 많으므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를 토대로 치료 약제를 선정해야 함

약제 내성으로 다른 항생제 선택이 불가능한 경우 소아에서 퀴놀론제제를 단기간 주의하여 사용할 수 있음

 

 

 

 예방

 

- 유행 시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은 추천되지 않음

- 배변 후 손 씻기의 중요성을 충분히 교육⋅홍보

 

 

 

관련 정책 및 지원사업

 

손씻기 등 보건교육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