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자료

A~Z

기타

한센병(Leprosy) [제2급 법정감염병]

■ 관련자료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한센병 [바로가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한센사업지침-본문_최종[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일본 한센병 및 성매개감염병 의료 체계의 현장조사 보고서[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4 한센사업대상자 현황[내려받기]

한국한센복지협회[바로바기]

한국한센총연합회[바로가기]

WHO Leprosy [바로가기]

CDC Hansen's Disease (Leprosy) [바로가기]


 


개요

 

정의

한센병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감염성 질환이다. 한센병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인도의 기원전 600년경에 작성된 고문서에서 발견되었다. 대한민국의 경우 서기 1451년 조선시대에 100명정도 수용진료를 실시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한센병을 일으키는 나균 (Mycobacterium leprae)은 1873년 노르웨이의 한센 (Hansen, 1841~1912)에 의해 최초로 발견이 되었다. 하지만 발견 당시에는 학계에서 한센병의 원인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1879년 독일의 나이셀 (Neisser)에 의하여 한센의 발견이 공식 인정 되었다.

 

원인균

 나균(Mycobacterium leprae)은 항산성균이며 세포내 기생하는 균이다. 크기는 장경 2-8 ㎛, 단경 0.3 ㎛ 이다. 나균은 자체 독성이 약한 균이다. 나균은 최초로 노르웨이 의사인 Gerhard Armauer Hansen의해 1873년에 발견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중 가장 먼저 보고된 나균이지만, 현재까지 인공배지에서 증식시키지 못하고 있다. 누우드마우스나 아르마딜로와 같은 실험동물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다.

 

c98a36db47ede111e004b255307b7445_1488766769_4656.jpg

<한센병 원인균(Mycobacterium leprae), 주사형전자형미경 3,400x> 

 

전파경로 

전파경로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상기도 감염, 직접 접촉으로 전파됨(가정 내 접촉 및 장기간의 밀접한 접촉이 중요한 요인)

 

 

 

 ■ 발생현황

 

세계현황
- 2013년 신환자수는 아프리카 20,911명, 아메리카 33,084명, 동지중해 1,680명, 남동아시아 155,385명, 서태평양 4,593명이었음
- 2013년 등록된 한센병 환자 유병률이 높은 국가는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필리핀, 미얀마, 네팔 순 

 

국내현황 
- 계속적으로 환자의 유병률과 신환 발생률이 감소함
- 감시현황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신고수()

38

56

12

7

5

6

7

5

7

6

발생률

(10만명당)

0.08

0.11

0.02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증상

 

잠복기 : 2~40년 이상(평균 5~7년)

 반점이나 침윤, 말초신경의 비후 또는 지각신경마비 등 활동성 임상증상
 균이 주로 말초신경과 피부에 병변을 일으키고 뼈, 근육, 안구, 고환 등을 침범함
 임상적으로 나종형(Lepromatous) 나, 결핵양(Tuberculoid) 나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임
  - 나종형 나(Lepromatous leprosy) : 소결절, 구진, 반점, 미만성 침윤이 대칭성으로 광범위하게 출현. 비강점막 침범으로 코가 주저앉고, 비출혈, 홍채염, 각막염 등을 보임
  - 결핵양 나(Tuberculoid leprosy) : 단일 또는 몇 개의 피부 병변을 보이며, 명확히 구분되면서 무감각하거나 양측성 또는 비대칭성 분포를 보이는 심한 말초신경염을 동반함
  - 경계군 나(Borderline leprosy) : 나종형 나와 결핵양 나 사이의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남

 

 

 

 

진단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분자생물학적 검사법에 의한 나균 확인
   - 조직검사상 한센병 육아종 소견 확인
   - 병변의 도말검사(항산성 염색)에서 항산성균 확인

 

관리를 목적으로 한, 병변의 도말검사(항산성 염색)에 의한 미생물학적인 분류(WHO 분류법)
- paucibacillary type(희균형) : 도말 음성
- multibacillary type(다균형) : 도말 양성

 

 

 

■ 신고


신고범위 : 환자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한센병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되거나 추정되는 사람

 

 

 

환자 및 접촉자 관리 

 

환자관리(정부가 한국한센복지협회를 통하여 관리함)
- 격리 필요 없음
- 감염기간 : 치료 후 감염력이 3개월 이내 소실됨
- 감염력이 있는 환자의 코 분비물 소독

접촉자관리
- 가정 내 접촉자에 대해 한센병 검진이 필요함
- 접촉 후 5년간은 매년 검진실시

 

 


■ 치료


 Dapsone과 rifampin 내성균이 많이 퍼져 있기 때문에 병합 요법이 필수적이다.

- 나종나에 대한 WHO 치료법은 rifampin 600mg/월, dapsone 100mg/일, clofazimine을 투여한다. 피부 도말검사에서 적어도 2년 이상 균이 음성이 될 때까지 약제 투여를 계속한다.

- 유결핵나에 대해서는 rifampin 600mg/월(10mg/kg/월)과 dapsone100mg/ 일(0.9~1.4mg/kg/일)의 병합요볍을 적어도 6개월간 계속한다. 치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약물 부작용과 Lepra '반응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나병성 결절성 홍반 반응에 대해서는 경증이면 아래에 기술한 역전반응 과 같은 치료를 시행하고, 중등증부터 중증에는 prednisolone을 60~80mg/일의 용량으로 투여하며 추후 반응 을 보면서 스테로이드의 용량을 점차 줄여 나간다. Thalidomide는 나병성 결절성 홍반 반응의 특효약으로 300~400mg/일을 경구 투여하고, 호전되면 100mg/일까지 감량한다. colfazimin(200~300mg/일)도 유효하지 만, 독성 때문에 장기간 사용되지는 않는다. Thalidomide는 역전반응에 대해서 효과가 없다. 역전반응에는 항 염증제나 colfazimine을 사용하고, 중증에는 스테로이드를 병용한다.

 

 

 

예방


 다제 병합요법이 나병에 효과가 있고 조기에 나병의 감염력이 소실된다는 것을 알려 신체적 사회적 장애를 예 방한다. 유행 지역에서는 조기 진단을 위해서 검진을 시행하고, 조기치료를 시행한다. 나병 환자와 접촉한 사람 에게 BCG를 투여하면 유결핵나의 발생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와 dapsone이나 acedapsone을 이용한 화학예방으 로 접촉자의 50%에서 에방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의료진이 집중 관찰할 수 없으면 그다지 권장되지 않는 다. BCG와 M.leprae 사균을 조합한 백신의 효과 대해 연구중이다

 

 

 

출처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한센병(Leprosy, Hansen's disease, 癩病)

http://www.cdc.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C0004&icdgrpCd=03&icdSubgrpCd=

질병관리본부 교육자료, [3군]한센병

http://cdc.go.kr/CDC/info/CdcKrInfo0210.jsp?menuIds=HOME001-MNU1154-MNU0725-MNU1375-MNU0566&cid=3111

◾질병관리본부 2017 법정감염병 진단 신고기준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6-MNU2804-MNU3027-MNU2979&cid=138040

VMC Mycobacterium leprae

http://www.virtualmuseum.ca/edu/ViewLoitDa.do;jsessionid=9FDD3553A711F63248F67061045C9DC9?method=preview&lang=EN&id=18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