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자료

A~Z

기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감염증 [제2급 법정감염병]

■ 관련 정보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페렴구균 [바로가기]

질병관리본부 2017 예방접종대상 감염병 사업관리 지침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 법정감염병 진단 신고기준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년 개정판)[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의료기관용)[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6년 노인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관리 지침[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 소아 청소년 하기도 감염의 항생제 사용지침[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실험실진단시험법 > 세균질환 > 폐렴사슬알균 감염증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실험실검사법 > 세균감염증 > 폐렴구균 감염증 [내려받기]

폐렴구균-KCDC사전 카드뉴스 [바로가기]

65세 이상 어르신들 꼭~ 폐렴구균 예방접종 받으세요![내려받기]

  

 

 

■ 개요

 

◾ 폐렴구균(폐렴사슬알균, 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은 급성 세균 감염질환의 원인 중 하나이며, 1881년 Pasteur에 의해서 공수병 환자의 타액에서 처음 분리됨

 

◾ 폐렴구균은 란셋(lancet) 모양의 그람 양성 쌍구균으로, 세균의 표면에 피막이 없는 균은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반면, 피막을 가진 폐렴구균은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며, 피막 다당(capsular polysaccharides)은 병독성의 가장 중요한 인자로 혈청학적 성질에 따라 현재까지 약 90여 가지의 혈청형으로 분류되고 있음

 

◾ 병원체: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 전파경로: 호흡기 비말을 통해 사람과 사람 간의 직접 접촉으로 전파되거나 상기도 보균자의 자가접종(autoinoculation)

 

 

 

■ 발생현황

 

◾ 세계현황
- 다국적 연구에서  침습 폐렴구균 질환의 발생률은 매년 10만 명 당 15명 정도이며, 균혈증 진단 환자 중 폐렴구균이 전체 원인균의 4~12%를 차지
- 미국 자료에 의하면, 2000년 소아 대상 단백결합백신 도입 전후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발생률이 1997년에 비해 2008년에 5세 미만 소아에서는 74%, 65세 이상에서는 34% 감소 

 

◾ 국내현황
-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전국 18개 대학병원에서 시행한 연구에서 면역 정상 연령 3개월 ~ 5세 소아에서 폐렴구균이 침습성 세균성 감염 중 44%를 차지
- 2009년 1년 간 전향적 다기관 연구에서 성인 지역사회 획득 폐렴 619건 중 21.1%에서 폐렴구균이 원인균 
- 2003년부터 7가 단백결합 백신, 2010년 3월부터 13가, 10가 단백결합백신 사용
- 2014년부터 법정감염병 및 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 대상 감염병으로 지정됨

 

 

 

■ 증상

 

◾ 임상증상
  - 주요 임상증상은 균혈증을 동반한 폐렴, 원인소를 알 수 없는 균혈증 및 뇌수막염
  - 성인에서의 폐렴구균 질환 중에는 폐렴이 가장 흔하고, 소아에서는 급성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이 흔함
  - 합병증 : 폐렴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농흉, 심막염, 무기폐나 폐농양등으로 인한 기관지내 폐색, 사망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 무균성 체액(혈액, 뇌척수액, 관절액, 늑막액, 심낭액, 복수, 생검 조직 등)에서 S. pneumoniae균 분리
  - 추정 진단 : 뇌척수액에서 S. pneumoniae 항원 혹은 유전자 검출

 

검사 의뢰 방법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사(혈청형 검사 등)를 의뢰할 때는 분리균을 의뢰서와 함께 생물안전관리수칙을 준수하여 포장한 후 운송
  (담당부서-국립보건연구원 결핵⋅호흡기세균과:전화 043-719-8313, 8322 팩스전송:043-719-8349)
• 병원체
  - 무균성 체액 (혈액, 뇌척수액 등)에서 분리된 S. pneumoniae균을 혈액한천배지에 접종
• 보관 및 운송
  - 병원체 : 혈액한천배지를 잘 밀봉한 후 4℃를 유지하여 28~48시간  이내 수송 

 

 

 

■ 신고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확인 진단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추정 진단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이 추정되는 사람

 

   

 

■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관리
- 입원 환자의 격리 : 표준 주의, 약제 내성 폐렴구균 감염증 환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

 

 

 

■ 치료

 

◾  감염부위, 중증도와 동정된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 투여

 

 

 

■ 예방

 

◾  예방접종

   • 소아 예방접종

    - 2~59개월의 소아 : 10가, 13가 단백결합 밸신

    - 2세 이상 고위험군* : 23가 다당질 백신

    * 고위험군: 뇌척수액 누출, 인광와우 이식, 기능적 및 해부학저거 무비증, 면역저하자

   • 성인 예방접종

    - 13가 단백결합 백신 : 특정 고위험군*

     * 고위험군: 뇌척수액 누출, 인광와우 이식, 기능적 및 해부학저거 무비증, 면역저하자

    - 23가 다당질 백신 : 65세 이상 노인, 65세 이상의 노인, 65세 미만 고위험군* 

     * 고위험군: 만성폐질환(천식 포함), 만성 심질환, 만성 간질환, 당뇨, 뇌척수액 누출, 인광와우이식, 겸상적혈구증,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HIV감염, 만성 신질환, 신증후군, 악성종양, 백혈병, 악성 림프종, 호지킨병, 혹은 고형장기 이식 등으로 

       면역억제제 혹은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 선척면역결핍

   • 접종용량 및 방법

    - 단백결합 백신: 0.5mL 대퇴부전외측 또는 삼각근에 근육주사

    - 23가 다당 백신: 0.5mL 상완외측면 피하 또는 대퇴부 전외측 또는 삼각근에 근육 주사

 

 

 

■ 관련 정책 및 지원사업

 

◾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 출처

• 예방접종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2017)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6-MNU2804-MNU3027-MNU2979&cid=138079

• 2017 법정감염병 진단 신고기준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6-MNU2804-MNU3027-MNU2979&cid=138040